
* 현재 창업과정에서 코드스테이츠에서 진행하는 PM부트캠프를 수강하고 있습니다. 블로깅 과제를 하는 과정에서 창업 내용에 대한 고민을 글 속에 녹여내고자 합니다. 오늘의 과제는 '본인이 관심있는 회사의 제품이나 구상하고 있는 신규 서비스에 대해 비전, 목표, 제품의 형태를 중심으로 에세이를 작성해보는 것' 입니다. 원래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던 퍼블리(PUBLY)에 대한 덕질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보려 했으나, 마침 '구상하고 있는 신규 서비스'에 대한 에세이를 써도 된다는 문구에 혹해서 이참에 에세이 방식으로 제가 구상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서 소개를 조금 해볼까 합니다. * 저희 법인이름 Naioth는 성서에서 예언자들의 양성소였던 지명이름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

* 현재 창업과정에서 코드스테이츠에서 진행하는 PM부트캠프를 수강하고 있습니다. 블로깅 과제를 하는 과정에서 창업 내용에 대한 고민을 글 속에 녹여내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가상의 프로덕트 팀은 어떠한 모양이 될 수 있을까요. 제가 먼저 러프하게 구상하고 있는 것은 '지식의 데이터베이스화'입니다. 지금의 논문들, 단행본들을 비롯한 지식들이 물론 구글을 통해 검색하면 얼마든지 접근이 가능하지만, 정말로 그 '지식'에 접근하기 용이한가에 있어서는 여전히 저는 공급자 중심의 불편한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수요자 중심으로 지식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프로덕트를 만들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지식들을 재배열하는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프로덕트팀을 만들 수 있지 않을..
* 현재 창업과정에서 코드스테이츠에서 진행하는 PM부트캠프를 수강하고 있습니다. 블로깅 과제를 하는 과정에서 창업 내용에 대한 고민을 글 속에 녹여내고자 합니다. #1. 저는 PM이라는 직무를 준비한다기보다는 제가 속한 '연구영역'이라는 도메인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 서비스 개발이라는 수단을 사용하고자 PM 부트캠프 수업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어쩌면 제가 속한 '도메인(Domain)'에 묶여 있는 상태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서비스를 구상하고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업무조율과 문제해결능력, 데이터분석 능력 등 많은 부분에서 PM에 대한 업무역량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셨지만 저는 이번 에세이에서는 특별히 '도메인과 디지털 간의 이중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면 어떨까 ..